닫기

- 한국설교학회 로그인 화면입니다. -

논문검색The Korea Society of Homiletics

HOME학 술 지논문검색
pISSN: 2092-8289

설교한국, Vol.11 (2020)
pp.113~153

- 설교자의 권위에 관한 비평적 고찰 : 프레드 크래독 이후 북미 현대설교학의 논의를 중심으로 -

정재웅

(게렛신학대학원/실천신학/예배설교학)

이 논문은 프레드 크래독(Fred Craddock) 이후 북미 현대설교학자들의 설교자의 권위 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고 포스트모던적 탈권위사회로 진입한 한국 사회와 교회를 위한 대안적 설교 모델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교자의 권위에 대한 이해는 설교자와 청중의 관계에 대한 교회론적 모델의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설교자와 청중의 관계에 관한 이해를 반영하는 설교 형태 계발에 영향을 끼쳐 왔다는 점에서 중요한 설교학적 주제로 다뤄져 왔다. 전통적 설교학이 전령으로서의 설교자 이해에 근거하여 설교자의 권위를 강조한 데 반하여, 신설교학의 대표적 학자인 프레드 크래독을 필두로 한 북미 현대 설교학자들은 수평적이며 민주적 설교자 모델을 주장해왔다. 본고에서는 전통적인 권위주의적 설교자 모델을 교정한 크래독의 민주적 설교자 모델에 관한 논의로부터 시작 하여, 북미 현대 설교학자들이 이 주제에 대해 어떠한 논의를 전개해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별히 크래독 모델의 약점을 지적하고 대화적 설교(Conversational Preaching)와 협력적 설교(Collaborative Preaching)를 대안으로 제시한 포스트모던 설교학자들인 루 스 로즈(Lucy A. Rose)와 존 맥클루어(John McClure)의 논의를 살펴보고, 이들의 주장에 대한 비평적 평가를 시도한다. 크래독 이후 포스트모던 설교학자들의 논의를 숙고하면서, 필자는 이들이 크래독의 논의 를 진전시켜 더욱 민주적 수평적 설교자 모델을 추구한 것은 의미가 있으나 현실적으로 모든 인간관계 속에, 특별히 발화 행위 중 발화자와 화자 사이에는 불평등한 관계는 불가피 하게 존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간과했음을 발견한다. 오히려 이러한 현실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설교자의 권위의 근거를 재평가하고 이를 지혜롭게 활용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 는 점을 주장한다. 토머스 롱(Thomas Long)이 증언으로서의 설교에서 지적하듯이 설교자 와 청중은 이분법적인 관계가 아니라 변증법적인 관계임을 인식하고, 대립적인 이분법적 모델에 기반을 둔 설교자의 권위에 대한 인식을 재고하고, 진정한 말씀 경험에 근거하여 자신의 경험을 고백하는 증인으로서 설교자로서 회중과 변증법적인 연합을 지향하도록 방향전환을 할 것을 제안한다. 필자는 이러한 모델이 한국교회의 권위주의로 인해 병든 설교자의 권위에 대한 의식을 치료하고, 권위 있는 말씀을 탈권위적으로 전하는 증인으로 서 설교자들을 세워 나가는 데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Authority of the Preacher : Focusing on the Homiletical Discussions in the North America since Fred Craddock

Jung, Jaewoong

This paper aims to reassess the North American contemporary homileticians’ discussions about the authority of the preacher since Fred Craddock. The issue of the preacher’s authority is a pivotal point to establish the ecclesiological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acher and the congregation as well as to develop homiletical forms which reflect such a relationship. While traditional preaching that proceeds in a form of deductive propositional didactic sermon assumes the preacher of authority, who serves as a herald of God, Craddock's inductive preaching purposes a preacher without authority, in which cultivates the horizontal democr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preacher and the listener. However, a group of postmodern homileticians, like Lucy Rose and John McClure, do not consider Craddock's inductive sermon a fully non-authoritarian model, because they think the preacher in Craddock's model still exercise a superior authority to the listeners in another way, neglecting the limits of language and experience. Instead, they suggest conversational preaching or collaborative preaching as alternative ways of preaching which foster communal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the pulpit and the pew. In reassessment of those scholars' discussions, I elucidate that their models also have limits to fulfill the communal democratic non-authoritarian role of preacher, because the asymmetrical power relationship cannot be fully resolved in reality. Rather, drawing on Thomas Long's preaching as witness model, I attempt to seek to reconfigure the authority of preacher, which is not based on their personal divine calling or gifts or institutional endowment but on the congregation's commission, and encourage to witness the Word with a sincere intention that pursues an authentic experience of the Word in their reading the Bible. Thus, I claim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acher and the congregation should be understood not as a confrontational bipolarized separation but as a dialectical paradoxical union. I expect that this attempt would be helpful to cure the sick consciousness of authority among Korean preachers which is distorted by the wrong understanding of the authority and to transform them to become a non-authoritarian servant of the authoritative Word.

다운로드 리스트